"음료를 미리 만들어두자니 식어서 버려야 하고, 손님이 와서 만들자니 대기시간이 길 것 같고…이렇게 하는 게 맞는지 계속 혼란스러웠어요."(국회 앞 프랜차이즈 카페 점주 서모 씨)
"페어플레이를 안 하는 선수가 있다고 해서 스포츠를 하지 말자고 할 수 없는 것처럼 선결제 문화가 지속될수록 관련 규칙이 자연스럽게 생길 거라고 생각합니다."(국회 앞 개인카페 운영자 이모 씨)
이달 윤석열 대통령 탄핵 촉구 촛불집회를 통해 새롭게 집회 문화로 부상한 '선결제' 릴레이가 지나간 자리의 반응들이다.
우리 사회의 연대 의식을 고취하는 순기능이 있다는 평가를 받은 집회 선결제의 큰 물결 속에서 일부 잡음도 터져나온 게 사실. 그러나 이는 초기 시행착오일 뿐이며 자연스럽게 건강한 문화로 정착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선결제는 상품 수령자를 정해 놓지 않은 주문 방식이다.
이번 국회 앞 탄핵 촛불시위에서 많은 이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선결제한 매장을 알렸고, 시위 참여자들은 SNS를 보고 이미 값이 치러진 음료 혹은 간식을 무료로 받아 가는 움직임이 '기부 릴레이'처럼 이어지면서 화제를 모았다.
집회 현장에 참석하지 못하는 해외 또는 지방 거주민들을 중심으로 선결제가 확산했고, 아이유, 뉴진스 등 연예인과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등 정치인도 동참했다.
이는 결제자·업주·수령자 간 신뢰를 토대로 작동하며 감동을 전해줬다.
그러나 지난 14일 촛불시위를 기점으로 이 3자 관계가 흔들리기 시작했다. 많게는 수천건에 이르는 선결제 주문과 불특정 다수의 수령자가 국회 인근의 한정된 가게를 중심으로 몰리면서 혼란 속 일부 거래의 불투명성과 서비스 미흡 지적이 나온 것이다.
Copyright @2015 시사Pick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