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통신 정책의 주요 목표를 알뜰폰 경쟁력 제고로 정하면서 최근 10년간 가장 큰 폭의 데이터 도매대가 인하를 발표했다.
데이터 도매대가란 통신사의 통신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하는 알뜰폰 회사가 통신사에 내는 사용료 개념이다. 낮아진 도매대가가 알뜰폰 이용요금에 반영되면 올해 상반기 안으로 알뜰폰 5G 요금제 중 월 20GB 사용에 1만원대 요금제가 나올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5일 도매제공 의무 사업자인 SK텔레콤[017670]의 데이터 도매대가를 1MB(메가바이트)당 1.29원에서 0.62원으로 최대 52% 낮춘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알뜰폰 사가 사용할 데이터를 통신사로부터 대량으로 구매 시 할인받는 혜택이 포함됐다.
SK텔레콤 기준 1년에 5만TB(테라바이트) 이상 선구매하면 도매대가의 25%, LG유플러스[032640] 기준 2만4천TB 이상 선구매 시 20% 할인이 추가된 것이다. KT는 기존에서 할인 폭을 늘리지 않았다.
알뜰폰 회사가 통신사로부터 낮은 금액의 도매대가를 적용받고, 이를 요금제에 반영하면 5G 요금제 중 월 20GB 사용에 1만원대 요금제를 출시할 수 있다고 과기정통부는 내다봤다.
과기정통부가 도매대가 제공에 관한 고시를 다음 달 안으로 개정하고, 관련 요금제 개발 및 마케팅 등의 준비가 완료되면 올해 상반기 안으로 1만원대 20GB 알뜰폰 요금제가 출시될 것이란 예상이다.
현행 20GB 요금제는 통신 3사 기준 4만원대에 형성돼 있다.
통신 3사의 온라인 요금제는 3만6천원대, 알뜰폰은 2만원 초 중반대여서 1만원대 요금제가 출시되면 '반값 요금제'로서 눈길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
과기정통부는 중소 알뜰폰 사 대상 회선 기본사용료를 단계적으로 낮춘다고도 발표했다.
작년 기준 휴대전화 1회선당 1천400원이던 기본 사용료를 올해 1천200원, 내년 1천100원까지 낮춰 알뜰폰 요금 부담을 낮춘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