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0시 45분께 경기 안산시 상록구 수인로 노적봉 폭포 앞 도로에서 20대 우즈베키스탄인 A씨가 몰던 승용차가 중앙분리대를 들이받는 사고가 났다. 이 사고로 A씨가 숨졌다. 차량에 동승자는 없었다. 경찰 관계자는 "사고 당시 노면이 젖은 상태였다"며 "차량이 미끄러져 사고가 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경찰은 자세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한밤중에 제주 한라산국립공원 인근에서 자연석을 훔치려던 일당에게 징역형이 구형됐다. 제주지검은 13일 제주지법 형사2부(재판장 임재남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결심공판에서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구속기소 된 70대 A씨에 대해 징역 4년을, 불구속기소 된 50대 B씨에 대해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해 달라고 요청했다. 검찰 공소사실에 따르면 A씨 등은 지난해 7월 21일 오후부터 이튿날 새벽까지 중장비를 동원해 한라산국립공원 인근 계곡에 있는 높이 1.5m, 무게 4t가량의 자연석을 캐낸 혐의를 받는다. A씨는 먼저 범행 장소로 가 전기톱 등으로 주변 나무를 잘라 차량 진입로를 확보한 후, B씨를 불러 함께 도르래, 로프 등 장비를 이용해 이튿날 새벽까지 약 12시간 동안 자연석 1점을 캐냈다. 하지만 이들은 캐낸 자연석을 1t 트럭에 실어 운반하던 중 약 150m 떨어진 등산로에 떨어뜨렸고, 날이 밝아오자 범행이 발각될 것을 우려해 그대로 도주한 것으로 파악됐다. 조사 결과 이들은 자연석을 훔쳐 되팔 목적으로 범행을 저질렀으며, 수사망을 피하기 위해 야간 시간대 폐쇄회로(CC)TV가 없는 숲길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A씨는
지난 13일 밤 11시께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에서 40대 여성 A씨가 몰던 승용차가 횡단보도에서 길을 건너던 보행자 3명을 잇달아 치는 사고가 났다. 이 사고로 보행자 60대 여성 B씨 등 3명이 다쳐 병원으로 옮겨졌다. A씨는 사고 당시 면허취소 수준(혈중알코올농도 0.08 이상) 의 만취 상태였던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지난 13일 밤 11시께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에서 40대 여성 A씨가 몰던 승용차가 횡단보도에서 길을 건너던 보행자 3명을 잇달아 치는 사고가 났다. 이 사고로 보행자 60대 여성 B씨 등 3명이 다쳐 병원으로 옮겨졌다. A씨는 사고 당시 면허취소 수준(혈중알코올농도 0.08 이상) 의 만취 상태였던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전북 전주-완주-김제에 걸쳐있는 모악산(해발 793m)에 등산하러 간다며 집을 나선 50대가 하루 만에 숨진 채 발견됐다. 11일 전북경찰청은 이날 오후 1시께 모악산 정상 근처의 천일암 인근에서 숨진 채 쓰러져있던 A씨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전날 오후 5시께 A씨 가족으로부터 '오전에 모악산에 다녀오겠다고 집을 나간 뒤 연락이 되지 않는다'는 실종 신고를 받고 수색 중이었다. 경찰은 지병이 있는 A씨가 등산하다가 숨진 것으로 보고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우르르 쾅쾅 대포 터지는 소리가 들려서 뒤를 돌아봤는데…" 25일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안성 구간 건설 현장에서 교각 상판(빔)이 무너지기 바로 직전 교량 아래 지방도를 차를 몰고 지나친 백용해(32) 씨는 느닷없이 들려온 굉음에 차를 세우고 뒤를 돌아봤다가 가슴을 쓸어내렸다. 충북 진천에서 충남 천안에 있는 납품업체로 가던 백씨는 차량이 흔들리더니 뒤편에서 대포 소리가 들렸다고 한다. 이내 차를 멈춘 뒤 목격한 광경은 믿을 수 없었다. 교각에 올려진 콘크리트 상판이 무너져내려 뿌연 먼지를 내뿜고 있었다. 실제 백씨가 연합뉴스에 제공한 차량 블랙박스 영상을 보면 백씨의 차량이 교량 아래를 지나가고 약 5초 뒤 상판이 붕괴하는 모습이 담겼다. 상판 3개가 무거운 빨래가 걸린 얇은 빨랫줄처럼 속절없이 가운데부터 축 처지면서 50여m 아래로 떨어졌다. 어찌 보면 엿가락이 떨어지는 모습처럼 보이기도 했다. 블랙박스 영상에는 다른 차들도 교량 아래로 지나가려다 사고가 나자 이내 속도를 줄이는 장면도 담겼다. 백씨는 "교각 아래 지방국도로 평소 차들이 많이 다닌다"며 "제 차가 몇 초라도 늦게 교량 아래를 지나왔다면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고 했다. 그는 "약 2년 전
B737-800 앞뒤 비상구에 승무원 2명씩 착석해 착륙 준비생존자들 후미 '점프싯' 착석 추정…가슴까지 두르는 안전벨트 착용 지난 29일 제주항공 참사에서 총 181명 중 승무원 2명이 극적으로 생존한 가운데 좌석 위치와 승무원 전용 의자·안전벨트 등 어떤 요인이 생존 가능케 했을지 주목받고 있다. 31일 국토교통부와 항공업계에 따르면 사고가 난 제주항공 7C2216편에는 승객 175명과 승무원 6명이 탑승했다. 이 중 승무원 2명만 비행기 후미에서 부상한 채 발견됐으며 179명은 사망했다. 사고 기종은 B737-800으로, 일반적으로 이 기종은 착륙 시 승무원 2명이 앞쪽 비상구 점프싯(Jump Seat·간이 의자)에 앉고 다른 2명은 뒤쪽 비상구 점프싯에 착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점프싯은 주로 비행기 문 옆이나 갤리(여객기 내 간이 주방) 공간에 접이식으로 설치돼 있으며 주변에는 비상시 안전 장비가 비치돼 있다. 비행기 기종과 구조에 따라 승무원이 갤리 점프싯에 착석해 착륙을 준비하기도 한다. 실제 제주항공의 동일 구간(방콕∼무안) 이용객들은 착륙 시 승무원들이 비상구 좌석 승객과 마주 보는 점프싯에 안전벨트를 착용한 채 착석했다고 입을 모았다. 승무
20일 오후 8시 7분께 인천시 중구 운서동 클럽72골프장 전동카트에서 불이 났으나 1시간 27분 만에 완전히 진화됐다. 이날 불은 골프 카트 보관 창고에서 시작돼 1시간여 만인 오후 9시 8분에 골프장 직원들에 의해 초기 진화됐고, 오후 9시 34분 완전 진화됐다. 소방당국은 현장 도착 당시 화염과 연기가 분출하자 인력 121명과 장비 41대를 동원해 진화했지만, 경량철골구조 창고 2개 동 1천291㎡가 탔고 골프 카트도 90∼95대가 소실됐다. 이날 불로 화염과 연기가 높이 치솟으면서 화재 신고도 잇따랐다. 소방당국은 골프 카트 보관 창고에서 불이 난 것으로 보고 화재 원인을 조사 중이다. 연합뉴스 제
검찰이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친인척에 대한 부당대출 의혹과 관련해 압수수색에 나섰다. 서울남부지검 금융조사1부(김수홍 부장검사)는 18일 오전 우리은행 대출비리 의혹과 관련해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에 있는 우리금융지주를 전격 압수수색했다. 우리금융지주 회장, 은행장 사무실 등 관련 부서가 주된 압수수색 대상이다. 검찰은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내부 문서와 결재 기록, 전산 자료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조병규 은행장이 취임 전 부당대출이 이뤄진 과정을 취임 후에 인지하고도 금융당국에 즉시 보고하지 않은 부분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부당대출 의혹이 있는 손태승 전 회장 등 당시 경영진을 넘어 조 은행장 등 현 경영진을 대상으로 수사를 확대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압수수색 영장에는 조 은행장이 피의자로 명시된 것으로 확인됐다. 손 전 회장 역시 한 달여 전쯤 자택을 압수수색할 때 피의자로 적시됐다. 임종룡 현 회장은 피의자 신분이 아니지만 검찰은 이번 사태와의 연관성을 들여다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 8월 우리은행이 2020년 4월 3일부터 올해 1월 16일까지 손 전 회장의 친인척과 관련된 법인이나 개인사업자를 대상으로 350억